References(19)
-
칼 세이건의 마지막 말. 그리고 로봇의 창작 행위는 존재하는가?
설연휴의 끝자락의 지금 우주와 우리의 삶에 대한 다큐를 보다가 모두가 듣고 읽었으면 하는 글귀가 있어서 적습니다. Earth as a pale blue dot in the middle of the band of light, taken by Voyager I from outside the orbit of Neptune(위키에서 퍼옴) 위 사진은 보이져1호가 해왕성을 지날 때 카메라를 돌려 찍은 지구의 모습입니다. 칼 세이건의 제안으로 촬영된 사진인데요. 그는 왜 저 멀리 머나먼 곳에서지구의 사진을 촬영하길 원했을까요. 아래의 글을 읽으면 그 해답이 있지만, 저는 또 이런 궁금중이 듭니다. 위의 이미지는 분명히 사진입니다. 누군가가 무언가를 찍은 행위의 결과물이지요. 저는 저 어둠속의 디지털 노이즈 속 밝은..
2015.02.22 -
발터 벤야민 -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기계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영역본
Walter Benjamin (1936)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Source: UCLA School of Theater, Film and Television;Transcribed: by Andy Blunden 1998; proofed and corrected Feb. 2005. “Our fine arts were developed, their types and uses were established, in times very different from the present, by men whose power of action upon things was in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ours. But t..
2012.10.11 -
사진 몇장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2012.08.02 -
The Thing unknown to you.
Yes. I wish " I would explain in a new way the world unknown to you "
2010.12.20 -
Ansel Adams
You don't take a photograph, you make it. 과거에는 대단했으나 이제는 읽히지 않는 책의 저자들과 비슷하다고나 할까. 헤겔은 살아남고 쉘링은 잊혀진다. 왜 잊혀지는가 하고 생각을 해보다가 오늘자 포토쿼트 사이트에서 발견한 글이다. 누군가에겐 전설이겠으나 알면 알수록 상대하기 싫어지는 과거의 이름 엔젤 아담스.
2010.07.24 -
다큐멘터리 사진론
다큐멘터리 사진론: 그 속에서, 그 주변에서, 그리고 그 후에.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 리차드 볼턴이 엮고 이우룡씨가 번역하신 의미의 경쟁(The Contest of Meaning)에 있는 챕터를 요약하여 옮겨 적어 봅니다. 사진적 실천으로서 다큐멘터리 사진은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하여 자유로운 감수성으로 표현된 사회의 양심이며 그 폭로적 특성으로 인하여 언론의 객관성이라는 신화를 선도하였고 또 그 안에서 스스로를 질식시키기도 하였다. 가난한 사람의 문제란 그 자신의 능력 부족과 게으름으로부터 생겨난다고 믿는 사회생물주의의 세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다큐멘터리 사진은, 그 일부분만이, 즉 타협 가능한 것들만이 이미지로서 제도권에 편입되고 그것은 심지어 사교적 논의로 전락한다. 다큐멘터리 사진-..
2010.01.18